맨위로가기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는 2010년 2월에 열린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주최의 축구 대회이다.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남녀 모두 예선, 준결승,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남자부는 예선에서 괌이 1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고, 준결승에서는 홍콩이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우승, 대한민국이 준우승을 차지했다.
여자부의 경우, 준결승 대회에서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대회는 북한의 불참으로 인해 준결승 2위였던 중화 타이베이가 대신 참가하였고, 일본이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기간 중, 북한 여자 대표팀의 일본 입국을 두고 일본 정부의 반대와 북한 측의 반발이 있었으며, 결국 북한은 대회 참가를 포기하는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2월 - 2010년 AFC 챌린지컵
    2010년 AFC 챌린지컵은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어 북한이 투르크메니스탄을 꺾고 우승했으며, 인도, 타지키스탄 등 8개 팀이 참가했고 량용기가 득점왕과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2010년 2월 - 2010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은 2010년 2월 12일부터 28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되었으며, 82개국이 참가하여 7개 종목 15개 세부 종목에서 86개의 경기가 진행되었고, 캐나다가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2010년 일본 - 일본항공
    일본항공은 195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적 항공사로, 경영 위기와 회사 정리법 신청 후 민영화되었으며, 현재는 원월드 회원사로서 최신 기종을 도입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고객 편의성 증대에 힘쓰고 있다.
  • 2010년 일본 - 일본항공 (지주회사)
    일본항공(JAL)은 항공 및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일본의 지주회사로, 2002년 통합 후 지주회사 체제를 구축했으나 2009년 경영난으로 회사정리법을 적용받았고, 구조조정 후 2012년 재상장되어 현재는 일본항공인터내셔널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회생 과정에서의 인력 감축과 노조 갈등은 논란거리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010
기타 명칭도-아지아 사카 센슈켄 2010 (東アジアサッカー選手権2010)
2010 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대회 로고
개최국일본
개최 도시도쿄도
개최 기간2010년 2월 6일 ~ 2010년 2월 14일
참가 팀 수10
참가 연맹 수2
경기장 수2
도시 수1
이전 대회2008년
다음 대회2013년
결과
우승중국
우승 횟수2회
준우승대한민국
3위일본
4위홍콩
총 경기 수6
총 득점17
총 관중 수108,079
개인 수상
득점왕취보 (중국)
이동국 (대한민국)
이승렬 (대한민국)
다마다 게이지 (일본)
득점 수2골
최우수 선수두웨이 (중국)
최우수 골키퍼양지 (중국)
경기장 정보
경기 장소 (본선)조후
도쿄
경기 장소 (예선)가오슝
조냐
기타 정보
AFC 회원 협회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협회 (준회원)

2. 남자부

참가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에 가맹 및 준가맹한 모든 국가와 지역이다. 예선 대회와 준결승 대회 및 결승 대회가 열리며, 일본, 대한민국, 중국 3팀은 결승 대회에 시드 배정된다.

; 예선 대회

: 2009년 3월 11일부터 3월 15일까지의 일정으로 섬에 있는 레오팔레스 리조트 축구장에서 개최되었다. , 마카오, 몽골, 북마리아나 제도 4팀에 의한 풀 리그를 실시, 그룹 1위가 준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 준결승 대회

: 2009년 8월 23일부터 8월 27일까지의 일정으로 타이완가오슝 국립 경기장(2009년 월드 게임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홍콩과 예선 대회를 통과한 1팀의 총 4팀에 의한 풀 리그를 실시, 그룹 1위가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 결승 대회

: 일본, 대한민국, 중국과 준결승 대회를 통과한 1팀의 총 4팀에 의한 풀 리그를 실시한다.

2. 1. 예선 대회

'''예선 대회'''는 에서 2009년 3월 11일부터 2009년 3월 15일까지 개최되었다. 예선 대회에서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준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하였다.

;참가국

;경기장

모든 경기는 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열렸다.

경기장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수용인원: N/A명
200x200픽셀



;대회 순위

순위국가승점경기
17321053+2
2몽골6320163+3
3마카오4311195+4
4북마리아나 제도03003312-9



이 1위를 차지하여 준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경기 결과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10:00)을 따른다.


  • 2009년 3월 13일 16:00 (UTC+10:00): 2 – 1 북마리아나 제도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 * 보르하 10'
  • * 마리아노 68'
  • * 로켄 81' (p) (북마리아나 제도)
  • * 관중: 765명
  • * 심판: 초챙오이 (홍콩)


;수상 내역

페어플레이상최우수 골키퍼상최우수 수비수상득점상MVP
북마리아나 제도22x20px 브렛 말루웰멩22x20px 치메드도르지 믕흐바트22x20px 첸키엔싱22x20px 제이슨 컨리프


2. 1. 1. 참가국

참가국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2. 1. 2. 경기장

모든 경기는 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열렸다.

경기장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수용인원: N/A명


2. 1. 3. 대회 순위

순위국가승점경기
17321053+2
2몽골6320163+3
3마카오4311195+4
4북마리아나 제도03003312-9



이 1위를 차지하여 준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2. 1. 4. 경기 결과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10:00)을 따른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321053+27
몽골320163+36
마카오311195+44
북마리아나 제도3003312−90


  • 2009년 3월 13일 16:00 (UTC+10:00): 2 – 1 북마리아나 제도 (레오 팔라스 리조트, 조냐)
  • * 보르하 10'
  • * 마리아노 68'
  • * 로켄 81' (p) (북마리아나 제도)
  • * 관중: 765명
  • * 심판: 초챙오이 (홍콩)

2. 1. 5. 수상 내역

wikitext

페어플레이상최우수 골키퍼상최우수 수비수상득점상MVP
북마리아나 제도22x20px 브렛 말루웰멩22x20px 치메드도르지 믕흐바트22x20px 첸키엔싱22x20px 제이슨 컨리프


2. 2. 준결승 대회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2009년 8월 23일부터 2009년 8월 27일까지 개최되었다. 준결승 대회에는 총 4개국이 출전하였고, 참가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했다.

가오슝 국립경기장


제4회 동아시안컵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의 '''국립경기장'''(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경기장은 가오슝에 위치하며, 수용인원은 55,000명이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홍콩3210160+16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210113+87
중화 타이베이310258−33
3003425−210


  • 2009년 8월 23일 19:00 (UTC+8): 중화 타이베이 0 – 4 홍콩 (세계 운동 주경기장, 가오슝)
  • * 홍콩 득점: 리와이림 (38'), 찬와이호 (45+1'), 찬시우키 (60'), 가이 (63')

  • 2009년 8월 27일 16:30 (UTC+8): 홍콩 12 – 0 (세계 운동 주경기장, 가오슝)
  • * 홍콩 득점: 만페이탁 (5'), 웡친훙 (15'), 찬시우키 (18', 35', 75', 77'), 차오펑페이 (37', 71', 90+2'), 렁춘퐁 (41'), 푼이우척 (89'), 찬와이호 (90')


페어플레이상최우수 골키퍼상최우수 수비수상득점상MVP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홍콩 호쿽추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리광천홍콩 찬시우키홍콩 암바사 기 제라르


2. 2. 1. 참가국

참가국 섹션은 별도로 요약(summary)이나 원본 소스(source)에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참가국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2. 2. 경기장



제4회 동아시안컵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의 '''국립경기장'''(중화 타이베이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경기장은 가오슝에 위치하며, 수용인원은 55,000명이다.

2. 2. 3. 대회 순위

순위국가승점경기
1홍콩73210160+16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73210113+8
3중화 타이베이3310258-3
403003425-21



홍콩이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2. 2. 4. 경기 결과

2009년 8월 23일부터 8월 27일까지 중화민국 가오슝에서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2차 예선 라운드가 개최되었다. 모든 시간은 타이완 시간(UTC+8) 기준이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홍콩3210160+16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210113+87
중화 타이베이310258−33
3003425−210


  • 2009년 8월 23일 19:00 (UTC+8): 중화 타이베이 0 – 4 홍콩 (월드 게임스 스타디움, 가오슝)
  • * 홍콩 득점: 리와이림 (38'), 찬와이호 (45+1'), 찬시우키 (60'), 가이 (63')

  • 2009년 8월 27일 16:30 (UTC+8): 홍콩 12 – 0 (월드 게임스 스타디움, 가오슝)
  • * 홍콩 득점: 만페이탁 (5'), 웡친훙 (15'), 찬시우키 (18', 35', 75', 77'), 차오펑페이 (37', 71', 90+2'), 렁춘퐁 (41'), 푼이우척 (89'), 찬와이호 (90')

2. 2. 5. 수상 내역

wikitable

페어플레이상최우수 골키퍼상최우수 수비수상득점상MVP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홍콩 호쿽추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리광천홍콩 찬시우키홍콩 암바사 기 제라르


2. 3. 결승 대회

'''결승 대회'''는 일본에서 2010년 2월 6일부터 2010년 2월 14일까지 개최되었다. 동아시아 축구 연맹 가맹국 중에서 FIFA 랭킹 기준 상위 3개국 자격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결승 대회에 자동으로 진출한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대회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팀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다.
  • 일본: FIFA 랭킹 상위 3개국에 들어 자동 진출하였다.
  • 중국: FIFA 랭킹 상위 3개국에 들어 자동 진출하였다.
  • 홍콩: 예선 1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제4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의 '''아지노모도 스타디움'''(FC 도쿄도쿄 베르디 홈구장)과 '''국립경기장'''(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아지노모도 스타디움국립경기장
조후도쿄
수용인원: 49,970명수용인원: 50,339명
250x250픽셀
250x250픽셀



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 명단을 나타낸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선 선수 명단도 참고하라.

순위국가승점경기
1중국7321050+5
2대한민국6320184+4
3일본4311143+1
4홍콩03003010-10



중국이 2승 1무, 승점 7점으로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2승 1패, 승점 6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1승 1무 1패, 승점 4점으로 3위를, 홍콩은 3패, 승점 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2010년 2월 6일부터 2월 14일까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승 리그전이 열렸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9)을 따른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321050+57
320184+46
311143+14
3003010−100



수상 선수·팀비고
대회 MVP두웨이우승
득점왕취보2골
이승렬
이동국
다마다 게이지
최우수 GK양즈
최우수 DF조용형
페어 플레이상홍콩2회



'''2골'''



'''1골'''

2. 3. 1. 참가국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팀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다.
  • 일본: FIFA 랭킹 상위 3개국에 들어 자동 진출하였다.
  • 중국: FIFA 랭킹 상위 3개국에 들어 자동 진출하였다.
  • 홍콩: 예선 1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2. 3. 2. 경기장

제4회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일본의 '''아지노모도 스타디움'''(FC 도쿄도쿄 베르디 홈구장)과 '''국립경기장'''(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에서 열렸다.

아지노모도 스타디움국립경기장
조후도쿄
수용인원: 49,970명수용인원: 50,339명


2. 3. 3. 선수 명단

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 명단을 나타낸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선 선수 명단도 참고하라.

2. 3. 4. 대회 순위

wikitable

순위국가승점경기
1중국7321050+5
2대한민국6320184+4
3일본4311143+1
4홍콩03003010-10



중국이 2승 1무, 승점 7점으로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2승 1패, 승점 6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1승 1무 1패, 승점 4점으로 3위를, 홍콩은 3패, 승점 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2. 3. 5. 경기 결과

2010년 2월 6일부터 2월 14일까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승 리그전이 열렸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9)을 따른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321050+57
320184+46
311143+14
3003010−100



2. 3. 6. 수상 내역

수상 선수·팀비고
대회 MVP두웨이우승
득점왕취보2골
이승렬
이동국
다마다 게이지
최우수 GK양즈
최우수 DF조용형
페어 플레이상홍콩2회


2. 3. 7. 기록과 통계

'''2골'''

'''1골'''

3. 여자부

참가는 중국, 북한, 일본, 대한민국, 차이니즈 타이페이, , 홍콩, 북마리아나 제도의 8개 팀으로 준결승 대회와 결승 대회를 실시한다. 중국, 북한, 일본의 3개 팀은 결승 대회에 시드 배정된다.

준결승 대회는 2009년 8월 22일부터 8월 30일의 일정으로 타이완타이난 현립 야구장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차이니즈 타이페이, 괌, 홍콩, 북마리아나 제도가 풀 리그전을 실시, 상위 1개 팀이 결승 대회에 진출한다.

결승 대회는 예선 대회를 시드 배정받은 중국, 북한, 일본과 준결승 대회를 통과한 1개 팀이 풀 리그전을 실시한다.

북한이 결승 대회 출전을 포기했기 때문에 준결승 대회 2위인 차이니즈 타이페이가 차순으로 결승 대회에 출전했다(후술).

3. 1. 준결승 대회



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1대한민국한국어 대한민국4400410+41
2中華民國중국어 중화 타이베이4301357+28
3香港중국어 홍콩42021216-4
4Guam영어 4103521-16
5Northern Mariana Islands영어 북마리아나 제도4004251-49


  • ---
  • ---

2009년 8월 22일 16:3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북마리아나 제도의 경기에서는 괌이 5-1로 승리하였다. 괌의 Kristin Thompson이 17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Heather Zimmerman이 31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북마리아나 제도의 Carrie Knight가 39분에 만회골을 넣었지만, 괌의 Lourdes Quigley가 72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하고, Victoria Shimizu가 73분과 87분에 연속골을 넣어 괌의 승리를 이끌었다. 관중은 1,5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일본의 이와키 마리코였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홍콩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8-1로 대승을 거두었다. 중화 타이베이의 Lin Yu-hui가 24분과 63분에 득점하고, 린만팅이 44분에, Lin Chiung-ying이 53분에, Lee Hsueh-hua가 66분에 페널티킥으로, Tseng Shu-o가 68분에, Chen Hui-shan이 74분에, 천샤오쥐안이 76분에 각각 골을 넣었다. 홍콩은 Chan Wing Sze가 90분에 만회골을 넣는 데 그쳤다. 관중은 3,0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일본의 이와키 마리코였다.

  • ---
  • ---

2009년 8월 24일 16:3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북마리아나 제도의 경기는 홍콩이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홍콩의 Fung Kam Mui가 3분, 56분, 61분, 76분에 득점하며 맹활약했고, Ng Wing Kum이 13분과 34분에, Cheung Wai Ki가 22분과 39분에, Chan Wing Sze가 42분과 47분에 각각 골을 넣어 승리에 기여했다. 관중은 3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대한민국의 윤보경이었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9-0으로 크게 이겼다. 전가을이 5분과 9분에 연속골을 넣었고, 유영아가 8분과 63분에, 권한울이 11분, 26분, 30분에 해트트릭을 기록했으며, 김수연이 29분에 페널티킥으로, 조소현이 74분에 각각 득점하여 대한민국의 압승을 이끌었다. 관중은 3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홍콩의 Siu Ming Wai였다.

  • ---
  • ---

2009년 8월 26일 16:3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10-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Tseng Shu-o가 5분과 30분에, Hsieh I-ling이 36분과 39분에, Lin Yu-hui가 51분에, Tan Wen-lin이 66분과 74분에, 린만팅이 69분에, Wang Hsiang-huei가 70분에, Lin Ya-han이 82분에 각각 득점하며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다. 관중은 1,0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일본의 이와키 마리코였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북마리아나 제도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19-0이라는 기록적인 점수 차로 승리했다. 지소연은 2분, 67분, 70분(페널티킥), 81분, 90분에 득점하며 5골을 기록했고, Choi Sun-Jin이 11분에, 임선주가 20분에, Lee Eun-Mi가 24분, 30분, 64분에 해트트릭을 달성했으며, 홍경숙이 41분에, 박희영이 50분과 59분(페널티킥)에, Kwak Ji-Hye가 65분, 71분, 76분에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조소현이 78분에, 이진화가 87분과 88분에 각각 득점하며 대승을 이끌었다. 특히,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북마리아나 제도를 상대로 19골을 기록하며,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역사에 남을 대승을 거두었다. 관중은 5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태국의 캄눈 파니팟이었다.

  • ---
  • ---

2009년 8월 28일 16:3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북마리아나 제도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17-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Lin Yu-hui는 14분, 25분(페널티킥), 34분, 65분, 69분, 70분, 72분에 무려 7골을 몰아넣었고, 린야한이 19분에, Tseng Shu-o가 31분과 36분에, 천샤오쥐안이 44분에, Hsieh I-ling이 49분과 83분에, Tan Wen-lin이 76분에, Tsai Hsin-yun이 82분에 각각 득점했다. 북마리아나 제도는 자책골 2골(Katie Lee Peters 41분, Natalie Hill 67분)까지 내주며 무너졌다. 관중은 1,2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홍콩의 Siu Ming Wai였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홍콩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7-0으로 승리했다. 유영아가 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김수연이 60분, 65분, 84분, 90+분(페널티킥)에 4골을 몰아넣으며 맹활약했다. 이장미가 66분에, 전가을이 88분에 각각 득점하며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관중은 3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태국의 캄눈 파니팟이었다.

  • ---
  • ---

2009년 8월 30일 16:3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홍콩의 경기에서는 홍콩이 1-0으로 승리했다. Ng Wing Kum이 66분에 결승골을 넣어 홍콩에 귀중한 승리를 안겼다. 관중은 3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대한민국의 김숙희였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난 현 스타디움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6-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전가을이 11분과 90+1분에 득점하고, 유영아가 28분에, 권한울이 39분에, 김수연이 65분(페널티킥)에, 지소연이 81분(페널티킥)에 각각 골을 넣어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4전 전승으로 준결승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며 결승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관중은 3,000명이 입장했으며, 주심은 일본의 사토 나미였다.

3. 1. 1. 참가국

참가국은 다음과 같다.

3. 1. 2. 경기장

(내용 없음)

3. 1. 3. 대회 순위

대회 순위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3. 1. 4. 경기 결과


3. 1. 5. 수상 내역

wikitable

최우수 골키퍼최우수 수비수득점왕MVP페어 플레이상
22x20px 김정미22x20px 린위후이22x20px 김도연22x20px 조소현대한민국


3. 2. 결승 대회

예선 대회를 시드 배정받은 중국, 북한, 일본과 준결승 대회를 통과한 1개 팀이 풀 리그전을 실시할 예정이었다.[3] 그러나 북한 여자 대표팀이 일본에서 열리는 대회에 참가하는 것에 대해, 당시 납치 문제 담당 대신 겸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던 나카이 히로시가 입국에 반대하는 의견을 밝히자 북한 측이 반발했다.[3] 일본 축구 협회의 설득도 있었고, 이후 비자 발급이 이루어지게 되었지만,[4] 북한은 최종적으로 출전을 포기했다.[3] 북한의 출전 포기로 인해 준결승 대회 2위였던 차이니즈 타이페이가 대신 출전하였다.

3. 2. 1. 참가국

참가국 섹션은 요약(`summary`)이 제공되지 않았고,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3. 2. 2. 경기장

(내용 없음)

3. 2. 3. 대회 순위

형태의 템플릿은 사용할 수 없다. 템플릿을 풀어서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회 연속이자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3. 2. 4. 경기 결과


3. 2. 5. 수상 내역

wikitable

수상 선수 · 팀비고
대회 MVP사와 호마레우승
득점왕이와부치 마나2득점
한돤
이장미
유영아
최우수 GK장옌루
최우수 DF이와시미즈 아즈사
페어 플레이상중국1회


4. 논란 및 사건 사고

당시 납치 문제 담당 대신 겸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던 나카이 히로시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대표팀의 입국에 반대하는 의견을 밝히자 북한 측이 반발했다.[3] 일본 축구 협회의 설득과 비자 발급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4] 북한은 최종적으로 대회 참가를 포기했다.[3]

참조

[1] 뉴스
[2] 웹사이트 EAFF 2009 Calendar http://www.eaff.com/[...]
[3] 웹사이트 北朝鮮が辞退し、台湾出場 サッカー東アジア選手権 https://web.archive.[...] 2010-01-12
[4] 웹사이트 北朝鮮女子代表が東アジア選手権辞退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